고등학교 1학년 내신 국어, 이 단원이 그토록 중요한 이유는 뭘까요? 바로 '세종어제훈민정음'이라는 텍스트가 단순한 고전 문헌이 아니라,
우리말의 뿌리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열쇠이기 때문입니다.
이 글 하나로 중세 국어의 특징, 훈민정음 창제 이유, 국어 변화 양상까지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시험 직전까지도 손에서 놓지 마세요. ✍️
📋 목차
1. 언어의 역사성과 국어의 계통
우리가 사용하는 국어는 시간에 따라 변화해 온 생명체와 같습니다. 이 변화 가능성을 우리는 언어의 역사성이라고 하죠. 단어의 소리, 의미, 문법 요소, 표기가 시간 흐름에 따라 바뀐다는 특징을 담고 있는 말이에요.
국어의 흐름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구분 | 시기 |
---|---|
고대 국어 | 신라 말까지 |
중세 국어 | 고려 건국 ~ 16세기 말 |
근대 국어 | 17세기 ~ 19세기 |
현대 국어 | 20세기 이후 |
국어의 시대 구분은 ‘언어의 변화’를 바탕으로 하며, 특히 문자 사용의 변화가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2. 훈민정음 창제의 목적과 시대적 배경
훈민정음은 조선 세종대왕이 백성을 위해 만든 문자입니다. 문자명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의미로, 애민 정신이 잘 담겨 있죠.
그렇다면 왜 새 문자가 필요했을까요?
당시에는 한자를 사용했지만, 우리말과 달라 백성들이 표현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어요.
그래서 세종은 자주, 애민, 창조, 실용의 정신으로 새로운 문자를 창제합니다.
💡 TIP: 훈민정음 창제 정신은 내신 시험 단골! 꼭 암기해 두세요.
- 자주 정신
우리 말이 중국과 다르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주체적 시각
- 애민 정신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깝게 여김
- 창조 정신
완전히 새로운 글자 스물여덟 자를 창제
- 실용 정신
누구나 쉽게 익히고 날마다 편하게 쓰기를 바람
3. 중세 국어의 특징과 표현 양상
중세 국어는 15세기부터 16세기 말까지의 국어를 말합니다. 특히 훈민정음 창제 직후의 언어는 ‘후기 중세 국어’로 분류되며, 고유한 표기법과 발음 체계를 지녔어요.
대표적인 특징들을 한눈에 정리해볼까요?
💎 핵심 포인트:
중세 국어의 주요 특징은 표기, 음운, 문법 요소에서 두루 나타납니다.
- ●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 ● 이어적기(연철)를 사용
- ● 방점을 사용해 높낮이 표시
- ● 'ㆍ', 'ㆁ', 'ㅿ' 등 특수 문자 사용
- ● 어두 자음군 존재 (예: ᄠ, ᄡ 등)
중세 국어 문장을 읽기 위해서는 이들 문법적 특성과 어휘 변화를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4. 원문과 해석을 통한 언어 변화 분석
'세종어제훈민정음'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서문을 우리말로 번역한 텍스트입니다. 고등학교 내신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 변화 분석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중세 국어 | 현대 국어 | 음운 변화 |
---|---|---|
니르·고·져 | 이르고자 | 두음 법칙 |
·ᄠᅳ들 | 뜻을 | 어두 자음군 → 된소리 |
펴·디 | 펴지 | 구개음화 |
·스·믈 | 스물 | 원순모음화 |
:수·ᄫᅵ | 쉬이(쉽게) | 'ㅿ' 소실 |
이런 분석은 기출문제의 핵심이에요. 형태 변화와 그에 따른 음운 변화를 짝지어 정리해두면 내신 점수는 문제없습니다.
5. 국어의 현대적 확산과 문화적 위상
2021년,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갈비(galbi)', '오빠(oppa)'가 등재된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는 단순한 한류의 유행을 넘어서 한국어가 세계 속 언어로 자리 잡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특히 ‘oppa’는 원래의 의미에서 벗어나 ‘매력적인 한국 남자 배우/가수’라는 문화적 개념으로 확장되어 등재되었어요. 이것이 바로 상호 언어적 단어(translingual word)의 대표 사례입니다.
단어 | 등재 이유 |
---|---|
떡볶이 |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한국 고유의 음식 |
흥 |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와 문화 표현 |
💡 TIP: '우리말의 세계화'라는 주제는 논술이나 서술형 문제로도 자주 나옵니다.
6. 우리말 다듬기와 올바른 언어 태도
신조어, 외래어의 홍수 속에서 우리는 어떤 언어적 태도를 지녀야 할까요? 국어를 지키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우리말 다듬기입니다.
외래어 | 순화어 |
---|---|
오마카세 | 주방 특선 |
오픈런 | 개장 질주 |
밈 | 문화 복제 |
국어를 지킨다는 건 고리타분한 과거에 머무는 일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말을 살리고자 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의미합니다.
“한글을 아끼는 태도는 작은 실천에서 시작됩니다.”
Q1. 중세 국어는 왜 이렇게 읽기 어렵나요?
중세 국어는 현대 국어와 다른 문자(ㆍ, ㆁ, ㅿ 등), 표기법(띄어쓰기 없음, 연철 사용), 음운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방점이나 어두 자음군 같은 요소들도 익숙하지 않죠. 연습을 통해 익숙해지면 어느 정도 규칙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Q2. 훈민정음 창제 정신은 시험에 어떻게 출제되나요?
거의 모든 내신 시험에서 훈민정음 창제의 4대 정신(자주, 애민, 창조, 실용)은 서술형 또는 객관식으로 출제됩니다. 각 정신이 반영된 원문 내용을 함께 연결하는 문제로도 자주 출제되니 문장과 정신을 함께 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관련 태그:
수능국어, 내신국어, 훈민정음, 중세국어, 언어의역사
🏷 브랜드 태그:
외솔교육, 외솔클래스룸, 외솔스터디, 외솔학원, 김무진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