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솔스터디
외솔스터디
국어공부, 내신국어, 수능국어, 고등국어, 중등국어, 중간고사, 기말고사, 국어영역, 문학공부, 문법공부

가시리|이별의 정한과 고려 가요의 진수 [고1 동아 공통국어2]

내신대비 필수작품 ‘가시리’를 완벽 분석! 변형문제, 중간고사, 기말고사 직전 시험대비 핵심정리. 기출문제와 연결된 포인트까지 완벽히 정리!

고등학교 1학년 국어 수업에서 반드시 다뤄지는 필수 작품, 「가시리」. 이 작품은 단순한 이별 노래가 아닙니다. 고려 가요 특유의 3음보 율격, 후렴구, 그리고 소극적 체념과 재회에 대한 희망이 절묘하게 엮여 있어요. 그런데... 시험 전에 급하게 외우는 건 또 너무 위험하죠. 그래서 이번 콘텐츠에서는 시험에 나오는 포인트만 콕콕! 집어 드릴게요.

👉 시험직전 필수자료 다운받기 👈 👉 내신 1등급용 해설 보러 가기 👈

1. 고려 가요란 무엇인가?

고려 가요는 고려 시대의 평민들이 구비 전승하던 시가로, 민중의 삶과 감정을 잘 담고 있어요. 특히, 3음보 율격과 후렴구가 있는 것이 큰 특징이죠. 후에 궁중 음악으로 수용되면서 일부 표현들이 추가되기도 했답니다.

💎 핵심 포인트:
후렴구는 원래 민요적 특성이지만, 궁중 음악으로 편입되면서 “대평성대” 같은 표현이 삽입되었다는 점!

구분 특징
주체 서민 중심
형식 3음보 + 후렴구
전승 방식 구비 전승 → 궁중 음악 수용

2. 가시리의 전체 구조와 흐름

「가시리」는 ‘기-승-전-결’ 구조를 갖추고 있어요. 전체적으로는 이별의 상황에서 감정이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4연에 걸쳐 표현한 시입니다.

내용
1연 (기) 이별의 슬픔과 안타까움
2연 (승) 임에 대한 원망
3연 (전) 이별에 대한 체념
4연 (결) 재회에 대한 소망

💡 TIP: 이 구조는 서사적 흐름이 아닌 감정의 내적 전개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3. 화자의 감정과 태도 분석

화자는 임과의 이별을 받아들이는 듯하지만, 속마음은 그렇지 않아요. 한마디로 표현하면 수동적 체념과 간절한 소망의 이중적인 태도라고 볼 수 있어요.

  1. 1연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는~" 반복적인 말로 이별을 거부하는 슬픔 표현

  2. 2연

    "날러는 엇디 살라 흐고~" 임에 대한 원망이 피어오르죠

  3. 3연

    "잡스와 두어리마느는~" 붙잡고 싶지만 임의 마음 상할까 두려워 못 잡는 소극적 태도

  4. 4연

    "가시는 듯 도셔 오쇼셔~" 결국엔 다시 돌아오기를 간절히 바라는 희망으로 마무리

💎 핵심 포인트:
화자는 임을 잡지 못하는 이유를 "선하면 아니 올세라"로 표현하면서, 임의 감정을 해치지 않으려는 조심스러움을 보입니다.

4. 후렴구의 기능과 의미

각 연 끝에 반복되는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는 사실 내용과 어울리지 않아요. 이건 원래 민요로 불리던 ‘가시리’가 궁중 음악으로 편입되면서 생긴 표현입니다.

“대평성대(大平盛代)”는 임금이 잘 다스리는 태평한 세상을 뜻하는 말이지만, 이별을 노래하는 내용과는 정서적으로 어긋납니다.

따라서 이 후렴구는 내용 전달보다는 운율 형성형식적 통일성을 위한 장치라고 볼 수 있어요.

구분 내용
기능 운율 형성, 형식 통일
특징 내용과 직접 연결되지 않음

⚠️ 주의: 후렴구가 주제를 강조한다고 해석하면 오답 처리됩니다! 주제와는 무관한 후렴입니다.

5. 시험에 꼭 나오는 분석 포인트

진짜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핵심 포인트들, 여기서 다 정리합니다. 내신 대비는 결국 이 ‘패턴 암기’가 핵심이에요.

형식 특징: 3음보 율격, 후렴구 반복
내용 구조: 기-승-전-결의 감정 흐름
화자의 태도: 소극적, 체념, 간절함
후렴구 기능: 운율 형성과 형식 통일 (X 주제강조)
시험 단골 문항: “위 증즐가 대평성대”의 의미와 기능

💡 TIP: 후렴구가 주제 강조 기능이라는 함정 선지 조심하세요. 해설지에서 무조건 X 처리됩니다!

6. (심화) 아리랑과 비교하여 이해하기

「가시리」와 민요 「아리랑」의 운율 비교는 고난도 심화 문제로 자주 등장해요.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 난다

이 두 작품 모두 3음보를 기반으로 하는 운율이 있어요. 구절의 길이, 호흡, 리듬감이 유사하다는 점을 눈여겨 보세요!

작품 운율
가시리 3음보, 후렴구 반복
아리랑 3음보, 후렴 반복

💎 핵심 포인트:
두 작품 모두 3음보로 구성되어 있다는 운율상 유사점을 통해 민요 계열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Q1. “선하면 아니 올세라”는 어떤 의미인가요?

이 표현은 '서운하게 하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까 봐'라는 의미입니다. 화자가 임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으려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드러내며, 이별을 받아들이는 체념적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Q2. “위 증즐가 대평성대”는 주제를 강조하는 후렴인가요?

아닙니다. 이 후렴은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운율 형성과 형식 통일을 위한 장치일 뿐입니다. 시험에서는 주제 강조 역할로 출제되면 오답입니다.

📌 관련 태그:
수능국어, 내신국어, 고려가요, 가시리, 이별의정한
외솔교육, 외솔클래스룸, 외솔스터디, 외솔학원, 김무진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