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1학년 공통국어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고려 가요의 대표작 '서경별곡'! 이 작품은 단순히 옛날 노래가 아닙니다. 생생한 감정, 구조적 완성도, 시어의 상징성 등으로 지금도 시험에 강력하게 출제되는 중요한 작품이죠.
🧠 시험 전 반드시 정리해야 할 '서경별곡'의 모든 것을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 목차
1. 서경별곡 작품 개요
구분 | 내용 |
---|---|
갈래 | 고려 가요 |
성격 | 서정적, 비유적, 애상적 |
소재 | 임과의 이별 |
주제 | 이별의 정한 |
💬 이 시의 핵심 정서: '이별'이라는 상황을 적극적으로 거부하며 사랑을 지키려는 시적 화자의 간절함.
💡 TIP: 고려 가요는 '속요'라고도 하며, 민간에서 구전되다가 문자로 기록된 전통 가요입니다.
2. 시상 전개와 정서 변화
- 1~4연
임이 사랑해준다면 삶의 터전마저 버릴 수 있다는 시적 화자의 적극적인 이별 거부.
- 5~8연
‘구슬’과 ‘끈’에 임과의 관계를 빗대어 영원한 사랑과 믿음을 설의적 표현으로 맹세.
- 9~14연
임이 떠나는 상황에서 사공을 원망하며, 불안과 질투, 슬픔이 드러남.
🎯 시적 화자의 정서 변화가 '이별의 거부 → 믿음의 맹세 → 이별에 대한 분노와 불안'으로 뚜렷하게 전개됩니다.
3. 핵심 시어의 의미 정리
고려 가요는 상징성과 비유가 매우 강한 문학입니다. 「서경별곡」에 등장하는 대표적 시어들의 의미를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어요.
시어 | 함축적 의미 |
---|---|
구슬 | 사랑의 관계를 상징 (깨질 수 있음) |
끈 | 임에 대한 믿음과 불변의 사랑 |
바위 | 사랑을 방해하는 장애물 |
건너편 꽃 | 임이 만날 다른 여인, 새로운 사랑의 대상 |
💎 핵심 포인트:
'끈'은 단순한 끈이 아니라, 시적 화자가 임을 향해 갖고 있는 믿음과 그 관계의 끊어지지 않음을 상징해요. 꼭 기억하세요!
4. 고려가요 형식적 특징 정리
- 3음보 율격 사용
‘서경이 / 셔울히 / 마르는’처럼 3·3·3조 구조를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
- 여음구와 후렴구의 반복
‘아즐가’,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는 고려가요 특유의 음악적 요소입니다.
- 평민의 삶과 감정
길쌈, 사랑, 원망 등 당시 평민의 감정이 그대로 드러나는 진솔한 표현이 많습니다.
⚠️ 주의: 서경별곡은 연의 구분이 있는 분연체이며, 단순한 무연체가 아닙니다!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포인트예요.
5. 제망매가·진달래꽃과의 비교
🧩 공통점과 차이점 핵심 비교
작품 | 이별에 대한 태도 | 형식적 특징 |
---|---|---|
서경별곡 | 이별을 적극적으로 거부 | 3음보, 여음구·후렴구 반복 |
제망매가 | 죽음 앞에서 종교적 승화 | 10구체 향가, 불교적 상징 |
진달래꽃 | 체념과 자기희생적 사랑 | 7·5조, 3음보, 수미상관 |
💡 TIP: 이별 정서의 '공통점'과 시적 태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서술형 대비에도 유리해요!
6. 서경별곡 실전 문제로 마무리
- 서경별곡은 연의 구분이 없다? (○, X)
정답: ❌ (분연체임!)
- 훈민정음 창제 이후 기록되었다? (○, X)
정답: ⭕
- ‘끈’의 의미를 직접 설명하는 시어는?
정답: 신(信)
- 사공에 대한 시적 화자의 감정은?
정답: 원망 (샤공을 통해 이별을 막고자 함)
Q1. '끈'과 '신(信)'의 관계를 꼭 외워야 하나요?
네, 꼭 기억해야 합니다! '끈'은 시적 화자가 임에 대한 믿음을 상징하는 시어이며, 그 의미를 명시적으로 설명하는 시어가 바로 ‘신(信)’입니다. 두 시어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설의적 표현을 통해 강조됩니다.
Q2. 서경별곡은 시험에 어떤 방식으로 자주 출제되나요?
① 시상의 전개와 정서 변화, ② 시어의 상징적 의미, ③ 고려가요의 형식적 특징(3음보, 여음구, 후렴구), ④ 제망매가나 진달래꽃과의 비교 등의 형태로 서술형이나 선택형으로 자주 출제됩니다. 특히 시어 해석 문제는 빈출!
📌 내용 태그
수능국어, 내신국어, 서경별곡, 고려가요, 이별정한
📌 브랜드 태그
외솔교육, 외솔클래스룸, 외솔스터디, 외솔학원, 김무진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