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솔스터디
외솔스터디
국어공부, 내신국어, 수능국어, 고등국어, 중등국어, 중간고사, 기말고사, 국어영역, 문학공부, 문법공부

고1 공통국어 내신 대비 - 맹사성 「강호사시가」 완벽 정리 [고1 비상(박영민) 공통국어2]

고1 비상박영민 공통국어2. 내신대비, 변형문제, 중간고사, 기말고사, 시험직전대비, 핵심정리, 기출문제를 한 번에! 강호사시가 전 수 완벽 분석으로 시험 전 최종 점검 필수 자료.

시험 직전, 뭘 봐야 할지 막막한 학생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
「강호사시가」는 단순한 계절 노래가 아닙니다. 자연 속 한가로움과 유교적 충성을 함께 담은 조선 최초의 연시조죠. 이 글에서는 작품 분석, 계절별 정서, 시험 필수 포인트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놓치면 점수 손해, 아시죠? 😉

👉 강호사시가 시험 대비 자료 바로보기 👈

작품 개요와 작가 소개 🌿

음... 그러니까 말이야, 이 작품은 연시조 형식으로 사계절을 각각 한 수로 노래해요. 성격은 풍류적·낭만적·전원적이고, 소재는 말 그대로 강호의 사계절이죠. 주제는 자연을 즐기며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는 태도! 한 줄로 정리됩니다.

구분 내용
갈래 연시조(정형시)
성격 풍류적, 낭만적, 전원적
소재 강호의 사계절
주제 강호에서 자연을 즐기며 임금의 은혜에 감사함
표현 대유법·대구법·의인법 활용, 각 수의 동일 구조 반복

그리고 작가 맹사성(1360~1438). 세종 때 문신으로 청렴·소박, 시문과 음률에 능해 향악을 정리하고 악기를 만들기도 했죠. 『태종실록』 편찬에도 참여했어요. 대표작이 바로 「강호사시가」입니다.


제1수~제2수: 봄과 여름의 정취 🌸☀️

제1수(춘사): 봄, ‘미친 흥’과 전원의 멋

강호에 봄이 드니 미친 흥이 절로 난다 / 탁료계변에 금린어가 안주로다 / 이 몸이 한가하옴도 역군은이샷다

핵심 해석: 강호=자연(대유법), 탁료계변은 시냇가의 막걸리 자리, 금린어는 싱싱한 물고기(쏘가리)로 전원 풍류의 상징. 끝구절 ‘역군은이샷다’는 유교적 충의를 분명히 드러냅니다.

💎 포인트
봄 수는 흥의 고조(미친 흥)자연·술·안주의 이미지로 ‘풍류’를 직관적으로 제시 → 마지막에 충의의 귀결. 시험에서 ‘대유법·전원적 정서·유교적 종장 반복’을 함께 물으면 정답 루트!

제2수(하사): 여름, 초당과 바람의 의인화

강호에 여름이 드니 초당에 일이 없다 / 유신한 강파는 보내나니 바람이로다 / 이 몸이 서늘하옴도 역군은이샷다

핵심 해석: 초당(선비의 소박한 거처)에서 한가로움. 강파(강물결)를 유신(믿음직)하다고 의인화하여 자연이 시원한 바람을 보내는 주체로 그린 점이 포인트. 마무리는 역시 ‘역군은이샷다’.

  1. 이미지 대비

    봄=흥취·술/안주, 여름=초당·바람(청량). 계절감 전환이 선명합니다.

  2. 표현 기법

    대유법(강호), 의인(강파·바람) → 계절 정서를 생동감 있게 제시.

  3. 종장 공식

    “이 몸이 ~하옴도 역군은이샷다”의 동일 구조 반복으로 주제 강화.

💡 내신 빈출 유형
① ‘강호’의 의미(안식·풍류의 공간 + 충의 다짐의 공간) 서술하시오. ② 봄/여름 수의 공통-차이를 근거 들어 비교하시오. 키워드: 자연=안식, 의인법, 동일구조.

제3수~제4수: 가을과 겨울의 풍경 🍂❄️

제3수(추사): 가을, 여유로운 어로 생활

강호에 가을이 드니 고기마다 살쪄 있다 / 소정에 그물 실어 흘러가는 대로 띄워 던져두고 / 이 몸이 소일하옴도 역군은이샷다

핵심 해석: 소정(작은 배)을 띄워놓고, ‘잡으려는 목적’이 아니라 시간을 소일하는 태도가 중심. ‘고기마다 살쪘다’는 계절적 풍요를 나타내며, 여유로운 생활과 유교적 충성의 결합을 보여줍니다.

💎 포인트
‘소일’이라는 어휘는 심심풀이·여유를 의미 → 시험에서 ‘목적성 없는 고기잡이의 의미’로 자주 물어봄.

제4수(동사): 겨울, 안분지족의 상징

강호에 겨울이 드니 눈 깊이 한 자가 넘네 / 삿갓 빗기 쓰고 누역으로 옷을 삼아 / 이 몸이 춥지 아니하옴도 역군은이샷다

핵심 해석: 눈 깊이 한 자(약 30cm 이상)의 혹한 속에서도 삿갓누역(도롱이)이라는 소박한 생활 도구로 만족하는 모습. 안분지족과 충성심을 결합한 겨울의 정서가 잘 드러납니다.

⚠️ 주의: 겨울 수에서 삿갓·누역은 필수 키워드. OX문제·서술형에서 거의 빠지지 않고 출제!

작품의 구조적 특징과 표현 기법 ✏️

「강호사시가」는 4수 모두 초장: 강호+계절 / 중장: 계절별 풍류 / 종장: ‘역군은이샷다’의 구조를 반복합니다. 이를 통해 형태적 안정감주제의 강조라는 효과를 동시에 거두죠.

  1. 대유법

    ‘강호’로 자연 전체를 대표.

  2. 대구법

    계절별 중장의 형식이 비슷한 구조로 병렬.

  3. 의인법

    여름 수의 ‘강파’처럼 자연에 성격 부여.

💡 TIP: 기출에서 ‘이 시의 형식적 특징’ → ‘동일 구조 반복, 종장의 충의 강조’라고 쓰면 안정적인 고득점.

👉 강호사시가 핵심 포인트 정리 PDF 받기 👈

계절별 화자의 정서와 의미 분석 💭

계절 핵심 이미지 정서/태도 핵심 구절
탁료계변, 금린어 흥취의 고조, 전원 풍류 “미친 흥이 절로 난다”
여름 초당, 유신한 강파(바람) 청량·안식, 자연의 의인화 “보내나니 바람이로다”
가을 소정, 살찐 고기 풍요, 소일(여유) “소일하옴도”
겨울 눈 한 자, 삿갓·누역 안분지족, 의지의 평온 “춥지 아니하옴도”

💎 핵심 포인트:
4수 모두 ‘강호+계절 → 계절별 풍류 → 역군은이샷다’로 끝나는 동일 구조를 반복합니다. 이 반복이 형태적 안정감을 만들고 자연의 안식과 임금 은혜에 대한 감사라는 주제를 또렷하게 강화해요.

한 문장 결론: 강호=안식과 풍류의 공간이면서 동시에 충의를 다짐하는 유교적 공간입니다. 그래서 매 수의 말미가 ‘역군은이샷다’로 수렴하는 것이죠.

시험 필수 포인트 및 기출 정리 🎯

필수 암기 세트

  1. 갈래·성격·주제

    연시조(정형시) / 풍류·낭만·전원 / 자연 향유+임금 은혜 감사.

  2. 구조 반복

    초장(강호+계절)–중장(풍류)–종장(감사)의 동일 구조.

  3. 표현

    대유법(강호), 의인법(강파), 대구적 배열.

  4. 키워드

    봄=탁료계변·금린어 / 여름=초당·바람 / 가을=소정·소일 / 겨울=눈 한 자·삿갓·누역.

💡 기출 확인(OX)
우리나라 최초의 연시조이다 → O. ② 강호의 한가로움을 임금 은혜로 돌린다 → O.

⚠️ 주의
겨울 수의 삿갓·누역을 빠뜨리면 감점. ‘소일’은 여유로운 세월 보내기 의미로, 목적적 노동과 구별!

비교 작품 스치듯 보기
「상춘곡」=봄 경치·안빈낙도(가사), 「논밭 갈아 김 매고」=농민의 노동과 생활(사설시조). 주된 향유 계층의 차이까지 체크.

Q1. ‘강호사시가’에서 ‘강호’는 단순한 자연을 의미하나요?

아니에요. ‘강호’는 안식과 풍류의 공간이자, 임금에 대한 충의를 다짐하는 유교적 공간입니다. 즉, 전원적 한가로움과 국가 충성심이 결합된 복합적 상징이죠.

Q2. 시험에서 ‘제4수’ 겨울 부분의 소박한 생활을 나타내는 소재는?

정답은 ‘삿갓’과 ‘누역’입니다. 겨울 수에서 이 두 소재는 ‘안분지족’의 대표적 상징이므로 OX문제, 단답형, 서술형에 빠짐없이 출제됩니다.

내용 태그: 수능국어, 내신국어, 강호사시가, 맹사성, 사계절시조
브랜드 태그: 외솔교육, 외솔클래스룸, 외솔스터디, 외솔학원, 김무진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