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리잇고~ 나" 이 한 문장만으로도 심장이 쿵 내려앉는 친구들 있지? 😢
고등학교 1학년 국어 내신, 특히 문학 작품 '가시리'는 거의 매년 빠지지 않고 등장해.
근데 그냥 '이별 노래'로만 외우면 점수는 안 나온다구!
작품의 표현 방식, 구조적 특징, 문학사적 의의까지 완전히 정리해야 변형 문제도 대비할 수 있어!
이 글 하나로 ‘가시리’ 완전 정복 가자! 🚀
📋 목차
1. '가시리'의 배경과 갈래 이해하기
『가시리』는 고려 시대의 대표적인 속요로, 이별의 정서를 담고 있어.
작자 미상이며, 궁중 음악으로도 불렸던 이 노래는 원래 민요였던 것이 궁중으로 편입되며 '속악' 형태로 변형되었어.
그러니까 단순히 '슬픈 이별 노래'가 아니라, 민중의 정서와 궁중의 형식이 동시에 담긴 복합적인 작품이라는 거지.
💬 『가시리』는 민요에서 궁중 음악으로 발전하면서 후렴구 ‘위 증즐가’가 덧붙여졌고, 이로 인해 내용과 분위기 간 간극이 발생하였다.
✅ 갈래: 고려 속요
✅ 성격: 서정적, 민요적, 애상적
✅ 주제: 떠나는 임에 대한 이별의 정한
2. 각 연별 정서 변화와 화자의 태도 분석
작품 전체는 이별을 앞둔 화자의 감정이 점차 절제 → 체념 → 염원으로 변화하는 구조야.
각 연마다 화자의 정서를 살펴보면 이렇게 정리할 수 있어.
연 | 화자의 정서 | 해석 |
---|---|---|
1연 | 애원, 안타까움 | 임에게 가지 말라고 부탁함 |
2연 | 원망, 슬픔 | 잡아두고 싶지만 마음 상할까 걱정함 |
3연 | 걱정, 체념 | 떠남을 받아들이려는 화자의 내면 |
4연 | 소망, 기원 | 임이 돌아오길 기도하는 마음 |
💬 1~4연은 각각 애원 → 고조된 원망 → 체념 → 귀환에 대한 기대로 감정이 변화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3. 형식적 특징과 고려 속요의 구조 파악
『가시리』는 3음보를 기본으로 하는 분연체 구조의 고려 속요로, 고유한 운율을 지닌 형식미가 뚜렷한 작품이야.
💡 TIP: 각 행은 3·3·2조 또는 가감이 있는 음수율로 구성되며, 후렴구를 포함해 형식적 반복이 핵심이야.
✅ 운율: 3·3·2조의 음수율과 3음보
✅ 구성: 4연의 분연체
✅ 후렴구: '위 증즐가 대평성대' 반복 삽입
게다가 '나', '잇고 나' 같은 여음과 투식어는 당시의 노래 가창 구조를 반영하고 있지.
이건 문학사 시험에서 형식적 특징으로 출제되기 딱 좋은 포인트야!
4. 후렴구 ‘위 증즐가’의 의미와 기능
반복되는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는 작품 분위기와 극명한 대조를 보여주는 후렴구야.
이 구절은 국가의 평화로움을 노래하는 내용인데, 정작 작품은 이별의 슬픔을 다루고 있으니까 좀 뜬금없지.
💬 이 후렴은 원래 민요였던 『가시리』가 궁중 음악으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추가된 것으로 보이며, 형식적 기능과 리듬감 조성의 역할을 한다.
✅ 내용과 무관한 반복: 분위기와 정서에 어울리지 않음
✅ 기능적 측면: 노래의 운율 강화 및 궁중 음악화 과정의 흔적
⚠️ 주의: 후렴구 해석 문제에서 단순히 '슬픔을 더한다'고 답하면 감점! '민요 → 속악 편입 과정'의 문학사적 배경까지 서술해야 해.
5. 내신 출제 포인트 및 기출 분석
『가시리』는 내신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문학 작품이야.
특히 다음 세 가지 포인트는 반드시 암기해 두자!
- 형식적 특징
3·3·2조의 율격, 후렴구, 여음 삽입 등 고려 속요 전형적 형식
- 화자의 태도
떠나는 임을 잡지 못하는 자기희생적·소극적 태도와 체념
- 후렴구의 역할
내용과 무관하나 궁중 음악으로 기능이 확장되며 덧붙여진 부분
💎 핵심 포인트:
“님에게 마음은 있지만, 잡으면 상처받을까 봐 참는다” → 이별의 정한을 절제된 정서로 표현한 화자의 태도는 반드시 출제!
🔁 또한, 3연과 4연에 나타난 감정 변화는 ‘시험직전 정리’ 파트로 자주 등장해. 꼭 흐름 파악해둬!
6. 실전 변형문제로 마무리 점검하기
마지막은 실전 감각 테스트! 아래 문제에 답할 수 있어야 진짜 마스터한 거야. ✏️
- 3연에서 화자가 적극적으로 임을 잡지 못한 이유는?
ⓐ 임의 마음을 존중하려고
ⓑ 자신이 서운함을 주는 존재가 될까 봐 두려워서
ⓒ 곧 돌아올 것이라 믿어서 - ‘위 증즐가 대평성대’라는 후렴구의 의미는?
ⓐ 임금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찬가
ⓑ 당시 사회의 평화로운 시대상 반영
ⓒ 이별의 감정을 강조하기 위한 장치
💡 TIP: 변형문제는 대체로 후렴구의 해석, 화자의 태도, 각 연의 정서 흐름 중심으로 출제된다. 지문이 살짝 바뀌어도 핵심 포인트는 같다!
Q1. 후렴구 ‘위 증즐가 대평성대’가 슬픈 내용과 어울리지 않는 이유는?
이 작품은 원래 민중 사이에서 불리던 민요였으나, 궁중 음악으로 수용되며 후렴구가 덧붙여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질감이 발생한 거예요. 시험에서는 형식적 변화나 문학사적 배경을 함께 서술하는 게 포인트!
Q2. 내신에서 가장 자주 출제되는 포인트는?
화자의 태도 변화예요. 특히 1~4연에서 점차 체념하고 소망으로 나아가는 흐름과, 임을 붙잡지 않는 태도의 이유(자기희생적)는 꼭 기억하세요!
📌 내용 태그: 수능국어, 내신국어, 가시리, 고려속요, 이별정한
📌 브랜드 태그: 외솔교육, 외솔클래스룸, 외솔스터디, 외솔학원, 김무진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