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솔스터디
외솔스터디
국어공부, 내신국어, 수능국어, 고등국어, 중등국어, 중간고사, 기말고사, 국어영역, 문학공부, 문법공부

고2 동아 문학 내신대비 📘 시조 세 편 완전 정리!

고2 동아 문학. 고2 내신대비를 위한 시조 세 편 완벽 정리! 변형문제 출제 포인트, 핵심정리, 기출문제 유형까지 시험직전 대비 가능한 최고의 자료!

음... 시조 세 편, 공부할 게 꽤 많죠? 😥 특히 시험 직전에 급하게 외우려다 보면 자꾸 헷갈리게 마련인데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황진이, 윤선도, 작자 미상의 시조를 완벽하게 비교하며 핵심만 콕콕 짚어드릴게요.
문학 감상도 잡고, 개념도 완성하고, 내신도 완벽히 대비해봅시다. 진짜 이 글 하나로 끝낼 수 있어요!

1. 황진이 시조 - 어져 내 일이야

황진이는 조선 중종 시기의 대표적인 기녀 시인이자 예술가였습니다. 그녀의 시조는 세련된 언어와 풍류적 감성이 돋보입니다.

“어져 내 일이야 / 이시라 하더면 가랴마는 제 구태야 / 보내고 그리는 정은 나도 몰라 하노라”

초장: 떠나간 임에 대한 감정 고조
중장: 떠나는 임을 만류하지 못한 후회
종장: 임을 보내고 나서야 진정한 그리움이 밀려옴

💡 TIP: '어져'는 감탄사로, 일반적인 시조와 달리 시의 첫 구절부터 감정을 터트리는 독특한 구조입니다.

사용된 표현 기법으로는 영탄법, 도치법, 행간 걸침이 있습니다. 특히 ‘가랴마는 제 구태야’는 중장 끝에 종장 첫 줄을 겹치며 정서의 순환 구조를 만들어냅니다.


2. 윤선도 시조 - 만흥

윤선도는 유배 생활을 예술로 승화시킨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시인입니다. 그의 시조 「만흥」은 자연과 하나된 삶의 미학을 보여주죠.

“소반상에 조촐한 반찬 마치고 / 잔 들어 푸른 산 바라보니 / 세상사 부러움이 없구나”

초장: 소박한 식사를 마친 후 여유로운 모습
중장: 자연 속에서 물아일체의 경지를 노님
종장: 세속을 초월한 삶의 만족

💎 핵심 포인트:
'안빈낙도', '자연과의 조화'라는 주제는 윤선도 시조의 핵심 키워드입니다.

👉 시조 분석 노하우 무료 공개 👈

3. 작자 미상 시조 - 임이 오마 하거늘

이 시조는 조선 후기의 사설시조로, 해학적 표현과 리듬감이 돋보입니다. 화자는 임이 온다는 말에 들떠 ‘주추리 삼대’를 임으로 착각하고 허둥대죠.

“곰븨님븨 님븨곰븨 / 쳔방지방 지방쳔방 / 주추리 삼대 사드리도 / 날 소겨다”

초장: 초조한 마음으로 임을 기다림
중장: 헛된 착각으로 괜한 행동을 함
종장: 부끄러운 마음과 실망을 드러냄

💡 TIP: 이 시조는 특히 음성 상징어의 반복해학적 시선으로 감정을 표현하며, 현실을 풍자하는 재미도 있습니다.


4. 시조 세 편의 공통점과 차이점

작품 주제 표현 방법 특징
황진이 임에 대한 그리움 영탄, 도치, 행간 걸침 세련된 형상화
윤선도 자연과의 조화 잔잔한 묘사, 감정 절제 자연 속 도가적 태도
작자 미상 기대와 실망 음성 상징어, 해학 사설시조의 특징
👉 시험직전 시조 총정리 노트 보기 👈

5. 사설시조와 평시조 비교 정리

구분 사설시조 평시조
형식 비교적 자유로움 (종장 초 제외) 3장 6구 45자 내외
주제 서민 생활, 현실 비판, 풍자 자연 친화, 절개, 충절 등
미의식 골계미, 해학미 우아미, 숭고미
사례 임이 오마 하거늘 (작자 미상) 어져 내 일이야 (황진이), 만흥 (윤선도)

⚠️ 주의: 사설시조는 형식의 파격성만이 아니라, 내용적 혁신성까지 포함하므로 감상 시 '풍자성'과 '현실성'을 중점적으로 보아야 합니다.


6. 시험 대비 핵심 포인트 요약

형식 구분: 황진이·윤선도는 평시조, 작자 미상은 사설시조
주제 파악: 감정 중심(황진이), 자연 중심(윤선도), 현실 풍자(작자 미상)
표현 기법: 영탄법, 도치법, 해학적 표현 등 다양하게 출제
등장 순서 파악: 초장-중장-종장의 구성 이해는 필수!

💎 실전 팁:
내신 시험에서는 시조의 구성 단계, 감정 흐름, 표현 기법 문제로 자주 출제됩니다. 각 장별 핵심 내용을 반드시 구분해 정리하세요!

Q1. '어져 내 일이야'에서 '이시라 하더면 가랴마는 제 구태야'가 왜 중요한가요?

이 부분은 도치법과 행간 걸침이라는 표현 기법이 동시에 사용되어, 여인의 복합적 감정(그리움+회한)을 압축적으로 전달하는 핵심 구절입니다. 시험에서는 이 표현 기법과 감정의 흐름을 묻는 문제가 자주 나옵니다.

Q2. '임이 오마 하거늘'에서 웃음 요소가 있다는데, 시험에서는 어떻게 묻나요?

이 시조는 해학적인 표현이 핵심입니다. 주추리 삼대를 임으로 착각해 허둥대는 모습은 현실 풍자와 웃음을 유발하죠. 시험에서는 이러한 유머의 방식(음성 상징어, 반복 표현 등)을 묻는 문제가 나올 수 있습니다.

📌 관련 태그:
수능국어, 내신국어, 시조비교, 황진이, 윤선도, 작자미상

📌 브랜드 태그:
외솔교육, 외솔클래스룸, 외솔스터디, 외솔학원, 김무진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