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중하고 배려하는 대화의 모든 것
요즘처럼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할 일이 많은 시대에, ‘존중’과 ‘배려’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국어 교과서 속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는 단순히 말을 주고받는 것을 넘어서 상대의 마음까지 읽는 대화를 배울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높임 표현부터 대화의 원리, 공동체 담화 관습까지—시험에 꼭 나오는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 볼게요. 😊
📋 목차
1. 높임 표현의 실현과 효과 🎓
높임 표현은 말하는 이가 상대방의 지위나 관계를 고려하여 예의를 갖추는 표현 방식이에요. 국어에서는 이를 주체 높임, 객체 높임, 상대 높임으로 나누죠.
높임 표현 | 설명 | 예시 |
---|---|---|
주체 높임 | 문장의 주어를 높임 | ‘선생님께서 오십니다’ |
객체 높임 | 목적어나 부사어를 높임 | ‘선생님을 뵈었습니다’ |
상대 높임 | 청자를 높이거나 낮춤 | ‘오셨습니다’, ‘오셔요’, ‘왔어’ |
예를 들어, 사적인 대화에서는 낮춤말을, 공적인 자리에서는 높임말을 쓰는 경우가 있어요. 이는 상황에 맞는 언어 사용을 통해 의사소통의 격을 높이고, 상대방에 대한 예의를 표현하는 거예요.
✅ 체크포인트: 사물이나 물건에는 높임 표현을 쓰지 않아요.
✅ 예외 확인: ‘말씀하신 물건은 품절이십니다’는 잘못된 표현!
2. 시간 표현과 동작상의 의미 ⏰
시간 표현은 시제와 동작상으로 나뉘며, 언제 일어난 일인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나타내요. 이는 특히 기행문, 회상문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죠.
구분 | 설명 | 예시 |
---|---|---|
과거 시제 | 말한 시점보다 이전 | ‘-았/었-’, ‘-았었-’ |
현재 시제 | 말한 시점과 같음 | ‘-는’, ‘이다’ |
미래 시제 | 말한 시점보다 이후 | ‘-겠-’, ‘-(으)ㄹ’ |
진행상 | 동작이 계속됨 | ‘-고 있다’, ‘-아/어 가다’ |
완료상 | 동작이 완료됨 | ‘-어 있다’, ‘-어 버리다’ |
예를 들어, 여행을 회상하는 글에서 경로는 과거 시제로, 느낌은 현재 시제로 쓰면 훨씬 생동감 있게 느껴져요. ‘젖어 버렸다’, ‘내리고 있는데요’처럼 동작상의 표현도 꼭 기억해 두세요!
3. 피동 표현의 사용과 의도 💬
피동 표현은 주어가 어떤 행위를 ‘당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말이에요. ‘문이 닫혔다’, ‘창문이 열려 있다’처럼, 누가 닫았는지는 드러나지 않죠. 이건 화자가 의도적으로 주체를 숨기거나 동작보다는 결과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선택한 표현일 수도 있어요.
구분 | 설명 | 예시 |
---|---|---|
단형 피동 | 접미사 ‘-이-, -히-, -리-, -기-’ | ‘닫히다’, ‘물리다’ |
장형 피동 | ‘-어지다’ 결합 | ‘열어지다’, ‘꺼지다’ |
‘-되다’ 결합 | 서술 명사에 사용 | ‘이용되다’, ‘사용되다’ |
이 표현들은 문장의 초점을 '결과'에 맞추거나, '책임 회피'나 '배려의 태도'를 나타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유리창이 깨졌어요.”는 행동의 주체보다 상황 자체에 더 집중하죠.
4. 인용 표현으로 신뢰를 높이기 📢
인용 표현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을 자신의 말에 끌어오는 방식이에요. 글의 신뢰도와 생생함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죠. 크게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으로 나뉘어요.
구분 | 설명 | 예시 |
---|---|---|
직접 인용 | 말이나 글을 그대로 옮김 | “내가 갈게.”라고 말했다. |
간접 인용 | 자신의 말로 바꾸어 옮김 | 자신이 갈 거라고 말했다. |
직접 인용은 생생함을, 간접 인용은 전달의 간결성을 줄 수 있어요. 상황에 따라 어떤 표현을 쓸지 잘 선택하는 게 중요하겠죠?
5. 어휘의 선택이 만들어내는 태도 🎯
같은 상황이라도 사용하는 어휘에 따라 화자의 감정, 태도, 관점이 다르게 느껴질 수 있어요. 특히 어떤 단어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글의 분위기나 독자의 인식도 달라지죠.
💎 예시:
“제압하다”는 위세를 강하게 누르는 느낌을 주고,
“신승하다”는 힘겹게 이긴 느낌을 줘요.
👉 같은 경기 결과도 표현에 따라 달라지는 분위기!
또한 전문어와 사고 도구어는 학술적 글에서 정확하고 논리적인 전개를 위해 사용돼요. 예를 들어 ‘선별하다’, ‘변별하다’ 같은 말은 그냥 ‘나누다’보다 훨씬 더 정확하고 목적에 맞는 표현이에요.
✅ TIP: 어휘 하나만 바꿔도 전체 문장의 분위기가 확 달라질 수 있어요!
✅ 예시: "지적", "비난", "의견"은 모두 말의 성격이 달라요.
6. 대화의 원리와 담화 관습 이해하기 🤝
원활한 대화를 위해서는 단순히 말만 잘하면 안 돼요. 상대방의 입장을 배려하고, 상황에 맞는 표현을 선택하는 태도가 필요하죠. 이걸 돕는 것이 바로 ‘대화의 원리와 담화 관습’이에요.
원리 | 세부 격률 | 핵심 내용 |
---|---|---|
협력의 원리 | 양, 질, 관련성, 태도 | 정확하고 맥락에 맞게 말해요 |
공손성의 원리 | 요령, 관용, 찬동, 겸양, 동의 | 상대를 배려해 예의 바르게 표현해요 |
체면 유지의 원리 | 적극적·소극적 체면 | 상대의 체면을 지켜 주는 태도예요 |
요즘은 ‘완곡어법’, ‘겸양어법’처럼 돌려 말하고 자신을 낮추는 말하기 방식이 공동체의 담화 관습으로 자리 잡고 있어요. 하지만 무조건 삼가고 겸손한 태도가 옳다는 인식은 점차 변하고 있답니다.
💡 현대 담화의 방향:
적극적 자기 표현과 더불어 상대에 대한 배려도 함께 고려하는 균형 잡힌 담화 태도가 중요해요.
Q1. 피동 표현이 항상 잘못된 표현인가요?
아니에요! 피동 표현은 주체를 숨기고 싶을 때나 상황의 결과를 강조하고 싶을 때 유용하게 쓰여요. 다만,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문맥에 맞지 않게 쓰이면 어색해질 수 있어요.
Q2. 국어 시험에서 ‘높임 표현’은 어떻게 출제되나요?
‘주체’, ‘객체’, ‘상대’ 높임의 구분을 묻는 객관식 문제가 자주 출제돼요. 선어말 어미 ‘-시-’, 조사 ‘께서’, 어휘 ‘뵙다, 계시다’ 등을 보고 높임의 유형을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해요!
📌 내용 태그: 수능국어, 내신국어, 문법표현, 담화관습, 국어교육
🏷 브랜드 태그: 외솔교육, 외솔클래스룸, 외솔스터디, 외솔학원, 김무진국어
외솔교육 학습 자료
- 핵심작품 강의와 주요 수능 기출 문제 해설을 무료로 만나보세요.
- 기출문제 무료 다운로드와 수능/내신 학습 자료실을 이용해보세요.
- 심화 변형 문제와 학습 발전 컨텐츠, 실전 모의고사 기출 분석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