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솔스터디
외솔스터디
국어공부, 내신국어, 수능국어, 고등국어, 중등국어, 중간고사, 기말고사, 국어영역, 문학공부, 문법공부

『세종어제훈민정음』으로 보는 국어의 변화 — 내신 필수 정리 [고1 비상(박영민) 공통국어2]

고1 비상박영민 공통국어2. 내신대비를위한세종어제훈민정음완벽정리,변형문제출제포인트와함께중세국어의음운,문법,어휘변화를하나의포스트에정리한시험직전대비자료

중세 국어, 어렵다고 느껴지나요? 그런데 말이야, 시험에 나오는 핵심은 의외로 단순해요.
특히 『세종어제훈민정음』 서문은 국어 변화 단원의 정수라고 할 수 있어요.
애민정신부터 중세 문법까지, 이 한 작품 안에 모든 것이 담겨 있거든요.

이 글에서는 『세종어제훈민정음』을 통해 중세 국어의 특징을 음운, 표기, 문법, 어휘 측면에서 짚어보고, 현대 국어와의 차이까지 정리해볼 거예요.
내신 대비는 물론, 서술형까지 대비할 수 있도록 꼼꼼히 구성했어요! ✍️

👉 이 글로 내신 1등급 완성하자 👈 👉 세종어제훈민정음 마스터하러 가기 👈

1. 세종어제훈민정음의 개요와 핵심 정신

『세종어제훈민정음』은 한글을 만든 이유와 세종의 창제 정신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글이에요.
훈민정음의 서문, 즉 ‘서’에는 백성을 불쌍히 여긴 애민정신과 우리말을 바르게 기록하려는 자주성이 강하게 드러나죠.

이 글은 설명적 성격교시적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서, 그 자체로 학습 가치가 높아요.

💎 핵심 포인트:
훈민정음은 국민 모두가 쉽게 익혀 편하게 쓸 수 있도록 만든 문자이며, 백성을 위한 세종의 철학이 담긴 국보급 텍스트예요.

핵심 요소 내용
주제 훈민정음 창제의 목적과 정신
성격 설명적, 교시적
정신 애민, 자주, 창조, 실용

2. 중세 국어의 음운·표기상 특징

중세 국어에서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표기법음운 규칙이 존재했어요.
특히 훈민정음 서문은 그 대표적인 예죠. 자, 하나하나 짚어볼게요!

어두 자음군: 단어 첫머리에 ‘ㅳ, ㅄ’ 등의 두 자음이 함께 쓰였어요.
모음 조화: 양성 모음은 양성과, 음성은 음성과 결합하는 규칙이 강하게 지켜졌어요.
종성 자음: 총 8종류가 쓰였지만 현대엔 7개만 발음돼요. (‘ㅅ’은 사라짐)
방점: 성조(높낮이)를 표기하기 위해 글자 왼쪽에 점을 찍었어요.
이어적기: 앞 음절의 끝소리를 뒷 음절 첫소리로 이어 적었어요.
세로쓰기 & 띄어쓰기 없음: 중세 국어는 원래 위에서 아래로 썼고, 띄어쓰기 개념이 없었어요.

예: ‘니르고져 할 뿐더러’ → 이어 적기와 어두 자음군의 복합 예시
예: ‘수비니겨 날로 쑤메’ → 모음 조화와 명사형 어미 '-움'까지 확인 가능!

3. 중세 국어의 문법적 특징

중세 국어는 조사와 어미 사용이 지금과는 확연히 달랐어요.
그 차이를 표로 정리해보면 이렇게 돼요👇

중세 국어 현대 국어 차이점
나랏말ᄊ·미 나라의 말이 관형격 조사 ‘ㅅ’ 사용
中國·애 달·아 중국과 달라 부사격 조사 ‘애’가 비교 의미
니르·고·져·홈·배이셔·도 이르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주격 조사 ‘이/ㅣ/∅’ 사용
날·로·뿌·메 날마다 씀에 명사형 어미 '-옴/-움' 사용

💡 TIP: 중세 국어 조사와 어미는 의미와 문장 구조에 큰 영향을 미쳐요.
주관식에서 "왜 다르게 쓰였을까?"를 묻는 문제에 자주 등장하니 꼭 기억하세요!


4. 중세 국어 어휘의 의미 변화

시간이 지나면서 말의 뜻이나 쓰임이 달라지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에요.
중세 국어 어휘를 보면 그 변화가 얼마나 극명한지 알 수 있어요.

중세 국어 단어 중세 의미 현대 국어 단어 현대 의미
사람 남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어엿비 불쌍히 어여삐 예쁘게
어린 어리석은 어린 나이가 적은
중세 국어 해석할 때 어휘의 의미 변화를 무시하면 완전히 다른 뜻이 되니까 주의해야 해요!

5. 국어의 변화 양상과 시대 구분

국어는 멈춰 있는 언어가 아니에요. 역사적 사건, 사회 변화에 따라 계속 변화해왔죠.
시기별 특징을 잘 정리하면, 흐름이 한눈에 들어올 거예요.

시기 명칭 대표 변화 기준
10세기 이전 고대 국어 삼국시대 문헌
10세기~16세기 말 중세 국어 고려 건국
17세기~19세기 말 근대 국어 임진왜란, 개화기
19세기 말 이후 현대 국어 한글 맞춤법 통일안

💡 TIP: 시대 구분은 단순 암기보다는 사회적 전환점과 연결해 흐름을 이해하는 게 훨씬 쉬워요.


6. 내신 대비 핵심 정리 퀴즈

정리만 하고 끝나면 안 되겠죠? ✍️
아래 퀴즈를 풀면서 핵심 내용을 복습해 봐요!

  1. 『세종어제훈민정음』에 담긴 세 가지 정신을 말해보세요.

    (힌트: 애민, ○○, ○○)

  2. 중세 국어에서 자주 쓰인 명사형 어미는 무엇인가요?

    예: 날·로·뿌·메 → 날마다 씀에

  3. '어엿비'는 현대 국어에서 어떤 의미로 변했나요?

    정답: 불쌍히 → 예쁘게

  4. 중세 국어의 어두 자음군 예시를 하나 들어보세요.

    힌트: ㅳ, ㅄ이 단어의 앞에 오는 경우

이 퀴즈는 시험 직전 암기용으로도 좋아요. 친구들과 퀴즈 내기하면서 반복하면 기억이 오래가요!

Q1. '니르고져 홀빼이셔도' 문장에서 어려운 점이 뭔가요?

이 문장은 중세 국어의 어두 자음군, 이어 적기, 모음 조화 등 다양한 음운 및 문법적 특징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한 번에 해석하기 어려워요. 단어를 잘게 쪼개고 각각의 요소를 이해해야 정확한 해석이 가능합니다.

Q2. 『세종어제훈민정음』에서 반드시 시험에 나오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훈민정음의 창제 이유와 핵심 정신은 서술형과 객관식 모두 자주 등장하는 출제 포인트예요. 특히 애민정신, 자주정신, 창조정신은 필수 암기!

📌 내용 태그: 중세국어, 훈민정음, 국어의변화, 고1국어, 내신대비
🏷 브랜드 태그: 외솔교육, 외솔클래스룸, 외솔스터디, 외솔학원, 김무진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