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 국어 내신에서 빠질 수 없는 시조 네 편! 문학사와 표현 기법, 작가 배경까지, 이 네 편의 시조는 단순한 고전이 아닙니다.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핵심 문학이자, 학생들이 헷갈려하는 포인트가 가득한 중요한 단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평시조, 연시조, 사설시조를 넘나들며 작품별 분석과 시대별 흐름까지 정리해 드릴게요. 시험 직전, 이 글 하나로 빠르게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
👉 고2 내신 필수 시조 총정리 PDF 받기 👈📋 목차
1. 시조란 무엇인가? 시대별 변화와 구조 이해
시조는 고려 말기부터 조선 시대까지 이어진 대표적인 정형시입니다. 초장, 중장, 종장으로 이루어진 3장 6구의 형식이 기본 구조이죠. 하지만 이 정형적인 틀 안에서도 시기별로 꽤 다양한 변화가 있었어요.
✅ 조선 전기: 사대부 중심의 평시조가 유행했어요. 주로 충절, 지조 같은 유교적 가치가 핵심이었죠.
✅ 조선 중기: 기녀 시조가 등장하면서 시조의 감정 표현이 훨씬 섬세하고 진솔해졌고요.
✅ 조선 후기: 사설시조와 같은 해학적이고 장문형 시조도 등장하며 형식의 변화를 보여줘요.
시조는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시대와 계층에 따라 정서의 층위와 문학의 색깔이 다르게 드러나는 살아있는 장르랍니다.
2. 성삼문 「수양산 부라보며」 분석
작품의 시대성과 역사 의식
성삼문은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했던 사육신 중 한 명이에요. 그가 쓴 이 시조는 세조의 왕위 찬탈을 강하게 비판하며, 백이·숙제보다 더 굳은 절개를 지키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보여줍니다.
“수양산 부라보며 이제랄 한하노라.” 여기서 '수양산'은 백이·숙제가 은둔했던 산이면서, 세조를 뜻하는 중의적 표현이에요. 화자는 백이·숙제를 탓하며 “고사리도 먹을 수 없다”며 충절을 넘은 초절의 정신을 드러냅니다.
주요 표현 기법과 포인트 정리
- 중의법:
‘수양산’은 지명과 인물 이름(수양대군)을 동시에 의미
- 설의법:
“긔 뉘 따헤 낫다니”는 반어로서 극단적인 부정을 강조
💡 TIP: 고사 인용과 비판적 시각이 동시에 담긴 보기 드문 시조예요. 문학과 역사, 윤리적 판단이 만나는 교차점!
3. 계랑 「이화우 흣뿌릴 제」 분석
기녀 시조의 감성적 정수
계랑은 부안 출신의 기생으로, 이 시조에서는 임과의 이별 후 느끼는 슬픔과 그리움을 절절하게 표현했어요. '이화우'와 '추풍낙엽'이라는 계절적 시어를 통해 시간의 흐름, 그리고 '천리'라는 거리 표현으로 공간적 이격까지도 그려냅니다.
특히 '천리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노매'는 임과의 이별로 인해 심리적으로 방황하는 화자의 처지를 환상과 현실의 경계에서 표현하고 있어요.
감상 포인트와 출제 요소
- 하강의 이미지:
'배꽃 비'(이화우)와 '낙엽'(추풍낙엽)은 모두 하강을 통해 슬픔을 강조해요.
- 시간의 흐름:
봄 → 가을로 이어지는 변화가 임과의 이별 후 느껴지는 정서적 거리감을 심화시켜요.
⚠️ 주의: 계절의 변화에 따라 '화자의 감정이 변화한다'는 오답! 감정은 지속되며, 계절은 거리감의 장치예요.
4. 윤선도 「만흥」 분석
자연을 찬미하는 연시조의 정수
윤선도의 「만흥」은 자연 속에서의 삶을 노래하는 연시조입니다. '삼공도곤 낫다', '만승이 이만하랴'와 같은 표현에서 속세의 명예나 권력을 부정하며, 자연 속의 삶을 더 가치 있게 여깁니다.
자연 속의 바위 아래 띠집에서 보리밥과 풋나물을 먹고, 바위 끝 물가에서 노니는 모습은 안빈낙도와 안분지족의 정신을 드러냅니다.
핵심 포인트 정리
✅ 물아일체: 자연과 하나 되는 경지를 표현
✅ 설의법: '그 나은 녀나은 일이야 부를 줄이 이시랴' → 다른 건 부럽지 않다
✅ 속세와 대비: '삼공', '만승' 등 권력과 대조되는 자연
윤선도는 단순히 자연을 노래한 게 아니라, 속세를 초월하고자 하는 정신적 태도를 담은 겁니다. 시험에서 '물아일체'나 '자족'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등장해요!
5. 작자 미상 「창 내고쟈」 분석
해학과 절박함이 공존하는 사설시조
이 작품은 조선 후기 사설시조로, 답답한 삶의 현실을 창으로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어요. 창을 내고 싶다는 반복된 외침 속에는 현실을 벗어나고 싶은 간절함과 웃음을 통한 위트가 담겨 있죠.
'고모장지, 셰살장지, 들장지, 열장지...' 등 창 부속의 나열은 화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웃음을 자아내지만, 그만큼 삶이 얼마나 고달픈지를 반증하기도 합니다.
💎 핵심 포인트:
반복과 열거의 표현 기법은 '답답한 마음 → 창을 내자'는 단순한 구조를 유쾌하고 재치 있게 표현하며,
동시에 사회적 억압을 상징적으로 드러냄.
형식의 변화와 시조의 확대
평시조가 3장 6구의 정형을 갖춘 데 비해, 이 작품은 중장 부분이 유달리 길어지는 사설시조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이는 조선 후기 서민 계층에서 문학의 폭이 확대되며 등장한 현상으로, 말맛과 현실 인식이 드러나는 중요한 포인트예요.
사설시조는 단순히 길어진 시조가 아니에요. 서민들의 감정과 현실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문학적 수단이 된 거죠.
6. 조선 시조의 갈래와 변천 총정리
지금까지 살펴본 시조 네 편을 통해 조선 시조의 형식과 내용, 작가층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한눈에 정리해 볼까요?
작품명 | 작가 | 갈래 | 주제 |
---|---|---|---|
수양산 부라보며 | 성삼문 (사대부) | 평시조 | 절의와 지조 |
이화우 흣뿌릴 제 | 계랑 (기녀) | 평시조 | 임에 대한 그리움 |
만흥 | 윤선도 (사대부) | 연시조 | 자연 속 삶의 즐거움 |
창 내고쟈 | 작자 미상 (서민) | 사설시조 | 삶의 답답함 극복 |
결론: 조선 전기의 사대부 → 중기의 기녀 → 후기의 서민으로 작가 계층이 확대되며 시조도 다양하게 발전했다는 흐름, 꼭 기억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사설시조는 왜 중장 길이가 유독 긴가요?
사설시조는 조선 후기 서민이나 중인 계층에서 창작된 시조로, 현실을 풍자하거나 희극적으로 표현하려는 목적이 강했어요. 그래서 말맛을 살리고자 중장이 길어졌고,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했던 거예요.
Q2. 「수양산 부라보며」는 시험에서 어떤 포인트로 출제되나요?
가장 중요한 건 '수양산'의 중의법이에요. 지명과 인물(세조)을 함께 의미하고, '백이·숙제 고사'를 인용하면서 그들의 절개를 비판함으로써 화자의 절의를 강조하죠. 설의법과 은유, 고사 인용이 핵심입니다!
📌 태그
내용 태그: 고2문학, 시조해설, 평시조, 연시조, 사설시조
브랜드 태그: 외솔교육, 외솔클래스룸, 외솔스터디, 외솔학원, 김무진국어